출 18장 13-27절
- 이드로의 충고와 행정조직
아말렉과의 전쟁에서 우리는 현장을 지키는 여호수아, 기도하는 모세, 모세의 중보자 아론과 훌 등 개인의 경건생활 뿐만 아니라 교회 공동체의 생활에서 동역과 분담의 중요성을 나눌 수 있었습니다.
18장에서 모세는 이드로를 통해서 더욱 구체적이고 행정적인 중보와 동역의 조직을 정비하게 됩니다.
이튿날 모세가 백성을 재판하느라고 앉아 있고 백성은 아침부터 저녁까지 모세 곁에 서 있는지라 (13절)
-> 재판하느라고 앉아 있는 모습은 왕을 연상시키는 권위적이고 가부장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한편 아침부터 저녁까지의 모습은 백성이나 모세 모두 탈진하여 소진시키는 모습을 연상하게 합니다.
-> 이것이 마치 한국교회의 전형적인 목회자관을 보여주고 있진 않는가? 권위를 지키기 위해 자신을 소진시키고 있는….
14절: 네가 이 백성에게 행하는 이 일이 어찌 됨이냐 어찌하여 네가 홀로 앉아 있고 백성은 아침부터 저녁까지 네 곁에 서 있느냐?
-> 이드로의 질책은 제 3자가 보더라도 그 모습은 온당하게 보이지 않았다는 것이고 서로가 어리석다라는 지적입니다. 왜 모세와 백성은 이렇게 할 수 밖에 없었는가가 15절 16절에 설명됩니다.
백성이 하나님께 물으려고…(15절); 내가 양쪽을 재판하여 하나님의 율례와 법도를 알게 하나이다.
-> 즉 백성과 하나님과의 중보자로서의 역할을 전적으로 모세가 감당하고 있는 것이다. 그것에 대한 이드로의 응답은 단호하다. -> 네가 하는 것이 옳지 못하도다. (17절), 너와 또 너와 함께 한 이 백성이 필경 기력이 쇠하리니 이 일이 네게 너무 정함이라. 네가 혼자 할 수 없느니라. (18절)
-> 모세 뿐만 아니라 그와 함께 한 백성들까지도 기력이 쇠할 것이라 말한다.
질문) 왜 하나님께서 직접 명하시지 않고 이드로를 통해서 이를 지시하셨을까?
이드로는 이방민족으로서 이미 국가의 형태를 가지고 왕과 선지자, 재판관이 분리되어 통치되어지는 제도에 익숙해져 있었다. 즉 그 방면에 지식이 있으면서도 모세에게 효과적으로 전할 수 있는 최고의 사람을 통해 모세에게 말씀해 주신 것이다.
질문) 내가 홀로 일하다가 기력이 쇠한 적은 없는가? 동역하지 못하는 첫 번째 이유는 신뢰하지 못하기 때문이고 결국은 교만과 탈진으로 이어진다. 나에게 나누어 주기를 원하는 내 삶의 영역은 무엇인가? 나의 이드로, 내가 이드로로서 행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?
'로고스 교회 > 출애굽기강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9월 4일 출애굽기 19장 16-25절 (2) | 2012.09.04 |
---|---|
9월 1일 토요일 (출애굽기 19장 1-15절) (0) | 2012.09.03 |
(8월 31일) 출 18장 13-27절 (1) | 2012.08.30 |
8월 30일 출애굽기 18장 1-12절 (0) | 2012.08.30 |
8월 29일 출애굽기 17장 8-16절 (2) | 2012.08.29 |
출애굽기 15장 1-21절 승리의 노래 (0) | 2012.08.22 |
댓글을 달아 주세요
내가 이드로같은 사람이 되든, 이드로같은 사람이 나에게 있든
중요한건 믿음의 신뢰가 서로가 있어야 충고도 바로 인정하고 실행하는것이고,
또 충고도 할수 있는거라 생각하게 됩니다....믿음의 신뢰. 노력하겠습니다.